직장 노동 시장의 미래는?
- 회사 - 직장
- 2021. 12. 23.
지난 2020년, 2021년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로 이를 대처하고자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돈을 풀었고 그 여파로 모든 자산 가격이 폭등하는 현상을 맞이하게 된다. 엄청난 물가상승과 자산의 가치 급상승. 그러나 받는 월급은 그대로였다.
이런 배경에서 자기주장은 확실한 MZ세대는 확실한 성과에 대한 보상을 원했고 하이닉스 사원이 쏘아 올린 공을 시작으로 삼성전자, 국내 IT기업의(네카라쿠배 :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달의민족) 연봉 상승 릴레이가 이어졌다. 주로 IT기업의 회사원은 잦은 야근에 악명 높기로 유명했는데 각종 기업에서 수요가 많아지니 자연스럽게 대우도 올라갔다.
2022년 노동시장 예상
21년 초 기준으로 네 카라 쿠 배 초봉은 5~6천만 원 상여금은 1000만 원 이상이다. 거기다가 최고의 복지, 자사주 지급, 실력이 갖춰지면 빠른 진급까지 보장한다. 2020년 이전 공대의 최고의 학과는 '전화기'(전자-화공-기계)였다. 하지만 지금은 '전컴기'(전자-컴퓨터-기계)이다.
미래 노동시장도 비슷하다. 수요가 몰리는 직무에서는 엄청난 대우로 보답할 것이다. 어떤 직무를 선택하고 전문가로 성장하는 것도 조금은 눈치가 필요하다. 기업에서 원하는 직무인가, 남들과는 다르게 '실력 무기'를 갖출 수 있는가 제대로 확인해야 한다.
지금 전공의 선택은 기본이고, 그 전공을 바탕으로 사회에 나갔을 때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경력이 쌓이면서 남들과는 다르게 대우를 받을만한, 헤드헌팅 당하기 좋은 것을 생각해보자. 참고할만한 건 역시 주식시장이다.
주식시장에서 뜨는 단어를 보자 - 메타버스, 자율주행, 전기차, 콘텐츠산업 등. 이 4가지에 속하는 직업을 강력 추천한다.
'회사 -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차 직장인 이직율 (70%) (0) | 2021.12.25 |
---|---|
삼성전자, 석유화학, 정유회사 대리 1년차 연봉 (0) | 2021.12.24 |
직장인의 꿈, 목표는 무엇?? (0) | 2021.12.22 |
대기업 내 전문직 - 일반직 - 계약직 (0) | 2021.12.21 |
대기업 과장 1년차, 35살 회사 권태기 (0) | 2021.12.20 |